한국현대미술신문 배윤섭 기자 | 부천여성청소년재단이 운영하는 부천미래교육센터는 6월 30일 부천시립박물관에서 부천시 미래교육자원‘마을배움터 정담회_#함께해서 (고맙)수다’를 성대하게 개최했다.
부천시 마을배움터는 부천시 청소년이 삶과 연결된 깊이 있는 배움이 가능하도록 교육공간을 마을로 확장하여 디지털․과학, 문화․예술, 메이커스, 생태․환경 등 12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37개 동으로 재구조화하여 자원맵으로 제작하여 현재 516개 배움터를 부천교육원클릭 온라인 플랫폼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번 마을배움터 정담회는 학교 교육과정을 지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마을배움터들이 한자리에 모여 소통하고 정을 나누는 자리로, 부천시 에듀테이너가 직접 행사를 기획하고 진행하여, 참여한 배움터들을 대상으로 서로에 대해 알아보고 교류하는 자리가 됐다.
이번 정담회는 1부 부천미래교육센터와 부천시 마을배움터 소개, 부천시 에듀테이너 활동 안내 및 2025년도 마을배움터 관리 계획 안내와 2부 마을배움터 담당자들 간 관계형성 및 교류의 시간을 통해 지역의 흩어진 배움터들을 위한 소통의 시간이 됐다.
특히 부천시 에듀테이너는 ▲ 학교에서 마을배움터를 쉽고 빠르게 연계하도록 권역별·영역별로 구분하여 맵으로 제작·배포하는‘교육자원 맵 제작’▲ 다양한 마을배움터를 영상으로 홍보하는‘교육자원 영상제작’▲ 지역 내 청소년들에게 마을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신기한 마을체험’등 단순한 마을배움터 발굴을 넘어 학교와의 지속적인 연계 지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3개구 37개 행정동을 11개 권역으로 나눠 행정동별로 전담하여 마을배움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정담회에 참여한 참가자는‘마을배움터로 부천시 교육을 지키는 마을배움터 지킴이들과 함께하여 좋았고, 지역의 교육력이 협력하여 학교교육을 성장시킬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고, 또 다른 참가자는‘마을배움터로 홍보되는 과정과 학교와 연계되는 과정에 대해 안내받을 수 있어 좋았으며, 인근 지역 배움터 담당자와의 지속적인 교류가 이어지길’희망했다.
향후 학교교사를 대상으로 마을배움터에 대해 안내하고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찾아가는 마을배움터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며, 10월 중에는 마을배움터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부스참여형‘마을배움터 한마당’을 통해 학교와 마을배움터의 연계지점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계획이다.
부천미래교육센터는 앞으로도 부천시의 지역 교육기반 구축을 통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창의적인 미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마을배움터를 권역별, 영역별 확대하여 발굴하며 마을교육력이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