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학교 안 농촌체험학습 확산 시동

도 농기원, 학교·농장 협력으로 ‘충남형 농촌교육 모델’ 구축 추진

 

한국현대미술신문 신정은 기자 |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12일 스마트농업교육센터에서 ‘2026년 늘봄학교 연계 학교현장 적용 교육프로그램 운영 설명회’를 열고, 농촌체험을 활용한 학교 교육지원 모델의 발전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설명회는 농업·농촌 자원을 활용한 방과후 및 돌봄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학교와 체험농장 간의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마련했다.

 

행사는 도 교육청과 시군 교육지원청 관계자, 시군 농업기술센터 담당자, 농촌체험농장 운영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취지 및 추진방향 공유 △전문가 특강 △학교·농장 연계 운영사례 발표 △기관별 협의 및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농촌체험교육이 학생의 정서 회복과 생태 감수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이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채혜성 농촌진흥청 연구사는 특강을 통해 “농촌체험은 학생들이 자연 속에서 신체와 감정을 회복하고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라며 “미래교육에서 농촌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동만 홍성군 위드벅스 대표는 실제 학교 연계 운영사례를 소개하며, “체험 운영자가 아이들의 경험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교육적 성과가 달라진다”고 조언했다.

 

기술원은 이번 설명회를 계기로 지역별 운영협의회 구성, 표준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전문강사 양성 등 후속 사업을 추진해 ‘충남형 농촌교육 모델’을 확립할 방침이다.

 

우선 2026년까지 시군별 40개 농촌체험농장을 선정해 학교와 연계 운영하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 기준 표준화 및 체험서비스의 전문성과 품질을 단계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농촌체험은 아이들이 흙을 만지고 생명을 돌보며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이라며, “교육과 농업이 협력할 때 농촌은 단순한 방문지가 아닌 살아있는 학습공간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 농업기술원은 올해 농촌진흥청이 주관한 ‘2025년 농촌체험학습 프로그램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인정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