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미술신문 원진 기자 | 출수를 약 보름 앞둔 현재, 이른 장마가 시작되면서 벼 도열병 발생에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도열병은 기온 20~25℃, 습도 90% 이상, 연속된 강우, 낮은 일조량, 이슬과 안개가 잦아지면 발생에 유리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도열병은 예방 중심의 체계적인 방제가 필요하다.
도열병 발생이 잦거나 우려되는 지역의 경우, 출수 20일 전에 등록 약제(입제 등)를 이용해 사전 방제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삭거름은 생략하고, 벼 이삭이 1~2개 보일 때 1차 방제를 실시한 후, 7일 뒤 2차 방제를 하여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삭과 이삭목에 약제가 충분히 흡수되도록 해야 한다.
이외에 7~8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세균성벼알마름병 또한 발생이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균성벼알마름병은 7월 하순 출수기 무렵 강우가 잦을 경우 발생이 심화될 수 있으므로, 1차 및 2차 방제 시 해당 병해에 특화된 약제를 병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추가적으로 7~8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잎집무늬마름병 발생에도 대비를 해야한다.
출수 이후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발생하는 병해로, 온도 30~32℃ 및 포기 사이 습도 96% 이상 조건에서 집중 발생하므로 철저한 본답 관찰과 함께 적절한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
철원군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올해는 기상 변화가 예측하기 어려워 벼 작황 전망이 신중한 상황”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병해충에 대한 방제와 함께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적절한 시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여름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로를 정비하는 등 전반적인 재해예방을 실시해 안정적인 철원오대쌀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농업인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