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미술신문 신정은 기자 |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회는 16일 제360회 임시회 제1차 회의를 열고, 충남도 스마트농업본부와 농축산국 소관 2025회계연도 주요 업무 추진 상황을 보고 받고, 조례안 등을 심사했다.
이연희 위원장(서산3·국민의힘)은 “도내 외국인 계절근로자 숙소가 현재 청양, 당진, 부여 등 일부 지역에만 설치돼 권역별 편중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농업 현장의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치와 함께 안정적인 숙소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한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관련해 “실제 농가 여성농업인은 70세 이상 고령농 비중이 큰데, 충남도 여성농업인은 50세에서 69세 42.8%를 차지하고 있다”며 “특수건강검진 대상자 연령을 51세 이상 70세 이하로 조정해 더 많은 여성농업인이 혜택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신영호 부위원장(서천2·국민의힘)은 “스마트농업본부가 충남의 새로운 수요에 따라 고구마 종자 사업도 맡게 됐다”며 “해당 사업을 철저히 준비해 스마트농업본부의 역할을 더욱 확대하고 충남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강조했다.
김복만 위원(금산2·국민의힘)은 “현재 예산 36억 규모의 예산으로는 스마트농업본부가 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에 한계가 있다”며 “신규 사업을 적극 발굴해 예산과 전문 인력을 추가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역할을 강화해 가야 한다”고 밝혔다.
오인환 위원(논산2·더불어민주당)은 “논산시 스마트팜 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 확보 부지의 활용이 우선돼야 한다”며 “추가 부지 제공은 정책의 효과성과 필요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검토하고 신중한 심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영농 부산물 자원화 사업은 퇴비화·사료화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고려해 시군 단위에서 수요를 정확히 파악한 후, 자원화 사업을 적극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박미옥 위원(비례·국민의힘)은 “스마트농업 관련해 충남에서 처음으로 공주시에 조성된 총체벼 단지에 대해 농민들의 참여 확대를 위한 추가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일반 벼농사에서 총체벼로의 전환 장려 정책을 강화해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 숙소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일자리 쉼터의 관리 체계를 안정화하고, 증가하는 수요에 맞춘 확대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편삼범 위원(보령2·국민의힘)은 “청년 농업인 유입을 위해서는 경영 이양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농업인들과 정부 간의 연계가 미흡한 실정”이라며 “효과적인 경영 이양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하고, 세대 간 농업 기술과 경험 전수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체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