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미술신문 정소영 기자 |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비례대표)은 5월 2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제316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자유발언을 통해, 1942년 일본 장생탄광 수몰사고로 희생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을 조명하며, 대구시가 보다 주체적으로 이 문제에 대응해야 할 것을 촉구한다.
육 의원은 “대한민국의 오늘은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과 희생 위에 세워졌지만, 그 가운데에는 강제로 동원되어 목숨을 잃고도 오랜 시간 국가로부터 외면받은 이들도 있다”며, 장생탄광 수몰사고를 대표적인 사례로 들었다.
1942년 2월 3일,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장생탄광에서는 강제징용된 조선인 노동자 136명을 포함해 총 183명이 희생된 대형 수몰사고가 발생했다.
이 중 73명이 대구·경북 출신이며, 이는 지역사회가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아픈 역사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어, “사고 이후 83년이 지난 지금까지 일본 정부는 유해 발굴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그나마 일본 시민단체 주도로 어렵게 진행 중인 유해 발굴과 6월 예정된 4차 수중 조사 상황을 언급한다.
육 의원은 “최근 우리 정부도 유족 대상 DNA 검사에 착수했지만, 유족들은 대응이 지나치게 늦었다며 전면적인 조사와 한일 공동 조사를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이며, “지난 2월에는 대구·경북을 포함한 전국의 시민들이 장생탄광 현장을 방문해 추모 행사를 진행하고, 한일 청소년들이 함께 희생자의 이름을 부르며 역사의 아픔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도 가졌다”고 소개한다.
이어, “그동안 지방분권을 외쳐왔지만 정작 국가사무와 지방사무의 경계에 있는 사안에 대해선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며, “이제는 중앙과 지방을 가리기보다 지역민의 고통에 먼저 다가가는 지방정부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날, 육 의원은 대구시가 감당해야 할 역할로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대구 지역 피해자와 유가족 정보가 정부의 유해 발굴 및 DNA 조사에 누락 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할 것
둘째, 서울, 울산, 전남 등 타 지자체의 사례를 참고해 지역사회가 함께 기억하는 추모사업 추진 등의 제도를 마련할 것
셋째, 중앙정부 및 다른 지자체와의 연대를 통해 일본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할 것
끝으로, “역사를 기억하고 희생자를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는 일은 과거사를 청산하고 정의를 실현하는 첫걸음”이라며, “대구시가 앞장서서 이 역사적 책무를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