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구제역 청정지역 유지

신속한 백신 접종과 차단 방역으로 구제역 유입 선제 차단

 

한국현대미술신문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지난 3월 전남에서 시작된 구제역 확산 상황 속에서도 철저한 방역과 선제 대응을 통해 도내 발생 없이 ‘청정지역’ 지위를 유지했다.

 

구제역이 발생했던 전남 영암군과 무안군 농장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추가 감염 사례가 없고, 감염 항체(NSP) 양성축에 대한 도태 조치가 모두 마무리되면서 7월 8일부로 전국 이동제한 조치가 해제됐다. 이에 따라 9일부터 전국의 구제역 위기경보 단계는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됐다.

 

전북도는 구제역의 도내 유입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지난 3월 14일부터 소와 염소 54만 5천 마리를 대상으로 긴급 백신 접종을 실시했으며, 2주 만에 일제 접종을 조기 완료했다.

 

또한, 가축 이동에 따른 전염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도 병행됐다. 구제역이 돼지까지 확산됨에 따라 전남 발생 시군에서의 돼지(생축·분뇨·정액) 반입·반출을 전면 금지하고, 사료 공급 차량의 교차 출입을 막기 위해 전남 발생 시군에는 도내 6개 사료회사의 전담차량 28대를 지정·운영했으며, 이 차량들은 공급 후 거점소독시설을 2회 거쳐 철저히 소독하도록 조치했다.

 

도내 11개 가축시장에서는 전남산 소의 거래를 금지하고, 시장 출입 전후 소독을 의무화했다. 아울러, 타 지역에서 반입된 돼지에 대해서는 도축 전 전두수 임상 관찰을 실시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에만 도축을 허용했다.

 

현재 도내 구제역 백신 항체 양성률은 소 98.7%, 돼지 92.0%, 염소 94.6%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항체 형성률이 낮은 농가에 대해서는 보강 접종과 확인 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전북도는 이번 조치로 일부 강화된 방역 조치는 해제됐지만, 앞으로도 전남 지역의 우제류 거래 가축시장과 도축장 등 축산관계시설에 대한 소독 및 예찰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방역 취약 농가를 중심으로 백신 접종 및 차단 방역 점검을 더욱 철저히 수행할 계획이다.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는 “구제역 청정지역 유지는 도민과 축산농가의 적극적인 협조와 철저한 방역 실천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한 치의 방심 없이 방역 태세를 유지하여, 가축질병으로부터 안전한 전북자치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