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술전시 ‘제4회 SEOUL ART FAIR 2025 ’

제4회 서울아트페어 2025가 5월 15일 목 오후 3시, 서울 SETEC 1. 2. 3 관에서 개막하였다.

한국현대미술신문 박삼화 기자 |

‘제4회 SEOUL ART FAIR 2025 ’가 시작되다

 

1. 전시명 : 서울아트페어

2. 전시장소 : SETEC 1. 2. 3 관 (서울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3104)

3. 전시기간 : 2025.5.15 (목) ~ 2025.5.18 (일)

4. 입장시간 : 5. 15 (목)-5.16 (금) 11:00~19:00

                   5. 17 (토) 10:00~20:00

                   5. 18( 일) 10:00~17:00

5. 개 막 식 : 2025년 5월 15일 (목) 오후 3시

6. 전시방식 : 갤러리부스, 개인부스, 그룹전, 초대작가전, Premium Hall 2관

                (조선시대민화, Special Aritists,)등 1000여명 4000여점 작가작품 전시

7. 전시형태 : 유료입장 (성인 15,000원)

8. 주 최 : 아트밴드, 월간아트, 주)에이스디에이엠

9. 주 관 : 제4회서울아트페어 조직위원회, 사)한국미술작가협회

 

아트밴드, 월간아트(대표권영일)와 주) 에이스디에이엠이 주최하고, 서울아트페어 조직위원회, 사) 한국예술작가협회가 주관하는 국내아트페어인 제4회 서울아트페어 2025가 5월 15일 목 오후 3시, 서울 SETEC 1. 2. 3 관에서 개막하였다.

이번 전시는 2022년부터 시작하여 매해 SETEC에서 5월쯤 아트페어를 개최해 왔으며, 올해로 제4회째 이다.

서울아트페어는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예술가들의 좋은 작품을 제작하는데 조력자로써의 역할을 하기 위해 갤러리뿐만 아니라, 작가개인도 부스를 운영할 수 있는 작가참여형 아트페어로, 예술가들이 작품에 매진하고 관객들과 교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시라고 할 수 있다.

 

제4회 서울아트페어는 화랑과 예술인이 함께하는 미술축제로 미술 분야의 경제적 가치상승의 효과로 미술품이 감성을 넘어 투자의 직접적 대상이 되어 미술품 투자가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고 있는 떠오르는 시장이다

 

대회장인 이석구님은 젊음과 전통이 만나는 이 공간에서 새로운 시작과 역동을 경험하며 동시에 과거의 유산을 되새겨 보는 소중한 시간을 함께 할 것이다. 이제 서울 아트페어는 단순한 그림을 감상하는 곳을 넘어 문화와 예술의 다양성을 경험하고 나누는 장이 될것이라고 하였다.

 

전시를 주관하고 조직위원회 대표를 맡고 있는 권영일님은 이번 전시의 효과를 이렇게 이야기하였다.

‘서울아트페어’는 홍보 및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워 최대한의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홍보채널을 확보하여 기업체, 미술애호가들에게 신뢰 할 수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미술시장의 인프라를 확장시켜 나갈 것입니다. 즉 단순한 전시차원의 플랫폼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의 아트마켓, 정보의 공유를 추구하는 교류의 장으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구성하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하였다.

 

본 아트페어에서는 갤러리부스, 개인부스, 그룹전, 초대작가전, Premium Hall 2관(조선시대민화, Special Aritists) 등 700 여명 3000점 작가작품이 SETEC 1, 2, 3관에 개성있게 전시되어 있어 아트페어를 찾은 관람객과 작품을 소장하고자 하는 컬렉터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매력적인 전시이다.

 

특히 평일에는 오후 7시까지 토요일은 오후8시까지 오픈한다고 하니 주말나들이를 이곳 세택으로 와서 좋은 작품을 보면서 마음의 에너지를 얻고, 적절한 가격에 소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전시 기간 중 참여 작가와 관람객 간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이벤트가 있는데 전시기간중 오후 3시 중앙홀에서 작품경매가 예정되어 있다. 운이 좋으면 평소 원하는 작품을 소장할 수 있는 찬스이기도 하다.

 

 

현대 사회에서 미술은 단순한 감상의 영역을 넘어 예술산업으로 자리 잡으며, 문화와 경제를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고 있다.

 

현장에서 현재미술시장의 흐름과 정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본 아트페어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

 


프로필 사진
박삼화 기자

flora samhwa 서양화가, 루비작가
서울도슨트협회 정회원
서초여성가족플라자 강사
도슨트활동
한국현대미술신문 기자
한국미협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