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 광장전통시장 '노점 실명제'로 신뢰 높인다

다국어 QR시스템, 미스터리쇼퍼 모니터링 등 공정한 시장문화 만들기 총력

 

한국현대미술신문 배건 기자 | 종로구는 광장전통시장의 상거래 질서 확립과 신뢰 회복을 위해 민관이 함께하는 다각적인 개선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핵심은 연내 시행 예정인 ‘노점 실명제’다. 이 제도는 종로구가 지난해부터 진행한 노점 가판대 실태조사, 도시·상권·법률 전문가 자문회의, 상인회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구는 '도로법' 제61조에 근거해 올해 안으로 점용허가를 부여하고, 점용 면적·기간 등을 명확히 규정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종로구는 일부 노점의 과요금 문제로 훼손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그간 상인회, 서울시 등과 협력해 다양한 상거래 질서 개선 활동을 펼쳐왔다.

 

그 일환으로 2024년 1월부터 민관 대책 회의를 정례화해 과요금 근절 방안, 서비스 교육 강화 등을 논의했다. 구는 상인회의 자율적인 노력을 지원하면서도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을 유도해 시장 질서 확립을 한층 강화하는 중이다.

 

또한 수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2024년 5월부터 7월까지 ‘다국어 정보무늬(QR) 메뉴시스템’을 도입했다. 먹거리 취급 노점 88개소가 참여했으며 메뉴와 사진, 가격 정보를 20개 언어로 제공, 외국인 관광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2024년 3월부터 10월까지는 내외국인 66명 등으로 구성된 ‘미스터리쇼퍼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과요금, 강매 행위, 위생, 결제, 친절도 등을 비노출 점검 방식으로 살폈다. 총 241회에 걸친 점검 결과, 89건의 개선 필요 사항이 확인됐고 즉시 조치를 완료했다.

 

종로구는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상인회와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신용카드 결제서비스 가맹 사업을 추진했다. 사업자 등록이 어려운 비사업자 노점 77개소가 카드 결제 대행 서비스를 신규 도입하면서, 현금 위주의 거래 관행을 개선하고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결제 환경을 구축했다.

 

2024년 7월부터 10월까지는 시장 내 192개 노점의 권리자, 운영형태, 상호 등을 전수 조사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운영 실태 개선과 노점 투명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상인회 역시 종로구의 행정적 지원에 발맞춰 자정 활동을 이어간다. 지난해 1월을 시작으로 과요금 근절, 가격표시제, 친절 응대, 위생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중이다. 또 위반 행위를 하면 경고부터 영업정지까지 단계적 제재를 시행해 시장 내 규율을 확립하고 있다.

 

한편 종로구는 이달 19일에는 상인회와 손잡고 환경미화 활동을 대대적으로 진행하고 청결한 시장 이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캠페인도 전개할 예정이다.

 

정문헌 구청장은 “광장전통시장은 오랜 세월 시민과 관광객이 사랑해 온 국가대표 전통시장”이라며 “노점 실명제와 상거래 질서 확립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통해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고, 공정하고 품격 있는 상거래 문화를 만들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