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현대미술신문 정소영 기자 | 대구시립국악단 화요국악무대 '허튼가락 산조' 공연이 11월 25일 저녁 7시 30분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에서 펼쳐진다.
피리, 해금, 거문고, 대금, 아쟁 등 국악기별 산조가 깊고 진중한 국악의 세계로 안내한다.
대구시립국악단 악장 양성필의 해설로 각 산조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산조는 조선 말기에 처음 등장한 국악 중 한 갈래로, 민속악에 속하는 기악 독주곡이다.
점점 빨라지는 장단에 맞춰 자유분방하게 연주하는 곡으로, 이번 무대에서 산조의 진수를 맛볼 수 있다.
관악 산조로 ‘박범훈류 피리 산조’, ‘김영재류 해금 산조’, ‘양성필류 대금 산조’를 감상할 수 있으며, 현악 산조로 ‘정대석제 거문고 산조’, ‘박대성류 아쟁 산조’가 준비된다.
공연의 첫 문은 ‘박범훈류 피리 산조’가 연다.
구전된 산조와 달리 서양음악의 작곡 개념을 도입한 최초의 산조이다.
연주자 전소이가 피리의 독특한 연주법으로 고난도의 수준 높은 산조를 선보인다.
‘김영재류 해금 산조’에서는 해금의 음색과 기교를 극대화한 무대를 만날 수 있다.
연주자 임유리가 개성 넘치는 산조의 멋을 선사한다.
‘양성필류 대금 산조’에서는 구슬기의 연주로 경상도풍 메나리조와 호소력 짙은 계면조의 성음이 어우러진 애잔함과 격렬함의 무대가 펼쳐진다.
지역 출신 국악인(양성필)이 창시한 최초의 산조이다.
‘정대석제 거문고 산조’는 거문고의 표현력을 극대화한 산조이다.
연주자 유은결이 다채로운 기법으로 화려한 가락을 선보이는데, 괘를 이동시켜 낸 음색 변화를 주목할만하다.
활대 쓰는 법이 독특한 ‘박대성류 아쟁 산조’에서는 다양한 청의 변화로 화려함이 느껴진다.
연주자 홍소은이 진부하지 않고 깔끔한 성음으로 거장의 산조를 선보이며 공연을 마무리 짓는다.
관람료는 전석 1천원으로, 대구문화예술회관 누리집과 놀티켓에서 예매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