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미술, 올해만 3관왕 달성하며 세계적인 수준 입증

공공미술을 확대해 시민의 일상과 지역에 활력을 더하고 문화예술 경쟁력 강화 계획

 

한국현대미술신문 배건 기자 | 서울시의 ‘가락시장 정수탑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베스트 오브 더 베스트’ 수상에 이어 ‘2025 대한민국 국토대전’ 공공디자인 부문에서 국토교통부장관상을 거머쥐며 국내외 대표 디자인 어워드 3관왕을 달성했다.

 

가락시장 정수탑은 1986년 건립 후 2004년 기능을 상실해 20여 년간 방치되던 시설이었다. 시는 이곳에 공공미술의 방식을 적용해 세계적인 환경예술가 네드 칸(Ned Kahn)의 '비의 장막(Rain Veil)'과 100명의 시민이 함께 만든 '바다의 시간' 작품으로 새롭게 탄생시켰다. 주변 녹지 약 7,000㎡는 송파구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의 협력으로 가로정원이 조성돼 예술과 휴식이 있는 쉼터가 됐다.

 

32m 높이의 정수탑 외부를 감싼 '비의 장막(Rain Veil)'은, 33만여 개의 친환경 바이오 소재가 바람과 햇살에 반응하며 낮에는 물결 같은 빛의 파동을, 밤에는 아름다운 조명과 어우러진 환상적인 경관을 연출한다.

 

작품 둘레에 거울 연못과 가로공원이 조성되면서 정수탑 일대가 주민과 방문객의 휴식처로 거듭났으며, 주민 80% 이상이 만족하고 재방문하고 싶은 공간으로 호응을 얻었다. 특히, 가락시장 정수탑의 야간조명은 인근 주민들의 의견으로 더 밝고 화려하게 빛나게 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역의 관심과 애정을 받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성과를 그간 공공미술 정책이 이룬 결실로 보고 있다. iF, 레드닷, 공공디자인 대상 등 다양한 국내외 상을 수상한 서울시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시민들의 호응으로 사랑받는 명소가 되어 서울의 매력을 강화하는 문화자원이 되고 있다.

 

시민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아이와 함께 작품 제작에 참여해 특별한 추억을 만들었다.”, “물 냄새로 아무도 오지 않던 장소가 사람들이 찾아오는 지역의 자랑거리가 됐다.”, “공공미술은 조각이나 벽화인 줄 알았는데 장소를 바꾸는 일에 내가 직접 참여할 수 있어 뜻깊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서울시는 2025년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노을공원에서 '새로운 지층', 선유도공원에서 '그림자 아카이브'와 '선유동화'를 시민들에게 선보이고 있다.

 

노을공원의 '새로운 지층(김효영 作)'은 쓰레기 매립지에서 생태공원으로 거듭난 공간의 의미를 담아 흙을 층층이 다져 올려 만든 아트 파빌리온이다. 자연소재를 활용해 시민들에게는 감성과 휴식,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진 그늘을 제공한다.

 

선유도공원의 '그림자 아카이브(김아연 作)'는 햇빛과 그림자가 만들어내는 풍경을 청사진 기법으로 기록해 병풍과 벤치 형태의 작품으로 구현했다. '선유동화(레벨나인 作)'는 시민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스마트폰으로 즐길 수 있는 증강현실(AR) 작품으로, 선유도의 순간을 색다르게 경험할 수 있다.

 

시는 앞으로도 공공미술을 확대해 시민의 일상과 지역에 활력을 더하고 인상적인 장소들을 만들어 문화적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도시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고도화 작업이 한창이며, 올해 새로운 비전을 준비해 공공미술 정책의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이번 3관왕 수상은 지난 15년간 일관되게 추진해 온 공공미술 정책의 결실이자 시민·예술가·행정이 함께 이룬 성과”라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시민의 일상 공간, 공원, 광장, 수변 등 시민 가까이에 예술과 자연, 시민이 하나 되는 공공미술을 확대해 삶의 질을 높이고 선도적인 문화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