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현대미술신문 기자 | 대한민국 문화도시인 전주시가 K-콘텐츠 중심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관련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전주시와 전주시정연구원은 13일 완판본문화관 인청에서 ‘소리와 한글 기반 K-콘텐츠 비전 수립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전주가 보유한 독보적인 문화 자산인 판소리와 완판본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래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지역의 성장 동력과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비전과 실행 방안을 폭넓게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소리와 한글, 콘텐츠로 여는 K-문화 수도 전주-전문가·시민과 함께 비전을 논하다’를 주제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에서는 이춘구 향약연구원 연구위원과 안준영 완판본문화관 관장, 홍성덕 전주대학교 교수가 발표를 맡았다.
먼저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이춘구 연구위원은 ‘K-소리와 AI 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전통문화의 창의적 계승과 디지털 전환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 자리에서 “K-소리(전통음악)가 산업 확장의 새로운 기반이 될 수 있다”면서 “전주가 K-소리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AI 융합형 문화산업 기반을 구축하고 전통과 기술이 공존하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안준영 관장은 ‘소리와 한글 기반 K-콘텐츠 비전’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통해 전주가 소리와 한글의 도시로서 완판본과 판소리라는 독창적 문화자산을 보유한 점을 강조했다.
안 관장은 특히 “완판본 복원과 디지털화, 한지 기반 고서 출판, 판각 기술의 현대적 전환 등을 통해 기록문화의 산업화를 추진해야 한다”라며 “전주의 완판본과 한지는 과거의 유산을 넘어 K-콘텐츠 시대를 이끌 새로운 산업 기반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 번째 발표를 맡은 홍성덕 교수로 ‘전주시 K-콘텐츠 비전과 과제’를 주제로 전주의 전통문화 자산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글로벌 콘텐츠 전략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홍 교수는 “한옥, 판소리, 한지, 완판본 등 전통 자원이 집적된 전주가 전통의 깊이와 디지털의 혁신이 만나는 도시로 도약해야 한다”면서 “전주의 문화자산을 미래형 IP로 전환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지속 가능한 K-콘텐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전주시정연구원은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전주의 대표 문화 자산인 소리와 한글을 미래 기술 및 산업과 연계해 지속가능한 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동시에 전주시와 협력해 전주가 세계 속의 문화 수도로 도약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와 정책 대안을 마련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박미자 전주시정연구원장은 “전주가 가진 역사·문화적 강점을 기반으로, K-콘텐츠 중심 도시로서의 비전을 강화하고, 국내외 문화산업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오늘 세미나는 소리와 한글이라는 고유한 문화 자산을 미래 산업과 연결해 전주형 K-콘텐츠의 비전과 전략이 구체화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기회를 미래 세대를 위한 문화산업의 방향이 제시된 출발점으로 삼아 앞으로 관련 정책 연구와 정책 추진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