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현대미술신문 정소영 기자 | 부산시는 오늘(20일) 오전 9시 해운대구 시그니엘 부산에서'WBGS 2025 국제심포지엄'(The 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Wide Bandgap Semiconductor 2025, 이하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9회째이자 9년 연속 부산에서 개최되는 심포지엄은 전력반도체의 핵심인 와이드밴드갭(WBG) 소재 관련 ▲국내외 정책 ▲기술개발 ▲산업화 동향을 공유하고, 산·학·연 교류망을 구축해 세계적(글로벌) 협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2022년부터 탄화규소(SiC)뿐 아니라 질화갈륨(GaN) 소재까지 심포지엄의 연구 영역으로 확대해 현재의 행사명으로 변경해 운영하고 있다.(기존: ‘SiC 국제심포지엄’, 변경: ‘WBGS 국제심포지엄’)
심포지엄에서 주로 다루는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에너지를 변환·제어·분배해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리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핵심 부품이다.
특히 전기차 분야에서는 실리콘(Si) 기반 반도체 대비 에너지 손실을 최대 90퍼센트(%)까지 줄일 수 있는 탄화규소(SiC)·질화갈륨(GaN) 소재 전력반도체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국내외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전력반도체 산·학·연 관계자 250명이 참석해 ▲연구 결과 발표 ▲전력반도체 국제자문위원 위촉 ▲국제탄화규소학술회의(ICSCRM) 2025 결과 보고 등이 진행된다.
연구 결과 발표에서는 국제 교류망(네트워크)을 구축하고 기술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와이드밴드갭 반도체 분야 국내외전문가가 기조 강연을 통해 최신 기술 동향을 발표한다.
▲박철홍(한국, 현대모비스 전무) ▲신이치 니시자와(일본, 큐슈대학 교수) ▲세르게이 레샤노프(스웨덴, 스웨덴국립연구소 박사) ▲히로시 야노(일본, 쓰쿠바대학 교수) ▲릴리 짜오(중국, 하얼빈공업대학 교수)가 연사로 나선다.
시는 올해 심포지엄 초청 국외 전문가 4명을 시 전력반도체 국제자문위원으로 위촉하고, 이날 위촉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국제자문위원으로 위촉되는 전문가는 ▲신이치 니시자와(일본, 큐슈대학 교수) ▲세르게이 레샤노프(스웨덴, 스웨덴국립연구소 박사) ▲히로시 야노(일본, 쓰쿠바대학 교수) ▲릴리 짜오(중국, 하얼빈공업대학 교수)이다.
'국제탄화규소학술회의(ICSCRM) 2025' 결과 보고에서는 국내 최초로 부산에 유치해 지난 9월 14일부터 19일까지 벡스코에서 개최된 제22회 국제탄화규소학술회의(ICSCRM) 2025 성과가 공유된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40개국 산·학·연 관계자 2천여 명이 참석해 ▲학술 발표 ▲초청 강연 ▲전시회 ▲기업 상담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박동석 시 첨단산업국장은 “부산은 전력반도체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전력반도체 생태계 조성을 위해 중장기적 로드맵을 구상 중이고, 지산학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부산을 전력반도체의 세계적인 중심지(메카)로 만들어가기 위해 다각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라며, “이번 심포지엄이 국내뿐 아니라 세계 전력반도체 산업 발전을 부산이 선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