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현대미술신문 배건 기자 | 서울 성동구가 2025년 ‘스마트도시’ 인증을 획득하며, 2021년 최초 인증에 이어 세 번째 ‘스마트도시’ 인증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로써 성동구는 2027년까지 ‘스마트도시’ 자격을 유지하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부터 국내 도시들의 스마트화 수준을 진단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스마트도시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혁신성, 거버넌스 및 제도, 서비스 기술·인프라 등 3개 분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3등급 이상인 기관에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올해 성동구는 인구 50만 명 미만의 중소도시 부문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돼 ‘스마트포용도시’로써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성과는 성동구가 전국 최초로 스마트포용도시 비전을 선포하고,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국 단위 스마트도시 전담 조직인 ‘스마트포용도시국’ 구성 및 운영을 바탕으로 추진해 온 다양한 스마트 사업들이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결과다.
구는 주민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정책에 반영하는 ‘성동형 리빙랩’ 추진, 성수동 IT 및 첨단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운영 모델 구축을 비롯하여 ‘성동형 스마트쉼터’, ‘스마트횡단보도’, ‘스마트흡연부스’ 등 선도적으로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특히, 구는 거버넌스 분야에서 '성동형 리빙랩' 운영을 통해 지역 주민과 함께 일상 속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차별화된 혁신 정책을 펼쳐 타 지자체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첨단 기술과 행정, 기업이 융합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모델'을 새롭게 제시한 점도 주목받았다.
또한, 성동구의 대표 스마트 정책인 ‘성동형 스마트쉼터’는 2020년 도입 이후 현재까지 중형 28곳, 소형 28곳 등 총 56개소가 설치되어 누적 이용자 수 1,270만 명을 돌파했다. 올해에는 영국 ‘그린월드 어워즈’와 이탈리아 ‘A'디자인 어워드’ 등 국제 환경·디자인상도 수상하며 세계적으로 스마트성동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이외에도 ▲ 2024년 OECD 공공부문 혁신사례에 선정된 ‘성동형 스마트횡단보도’ ▲ 흡연 갈등 해소를 위한 ‘성동형 스마트흡연부스’ ▲ 침수와 악취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빗물받이’ ▲ 실시간 도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하는 ‘스마트도시통합운영센터’ 등 도시 전반에 걸쳐 스마트 기술을 적극 도입하며, 스마트 인프라와 지속가능한 도시 운영 모델을 구축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이번 인증은 구민, 기업, 행정이 함께 이뤄낸 결과이자, 성동구가 대한민국 대표 스마트도시로 자리매김했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도 구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스마트 사업을 확대하고,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스마트포용도시' 구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