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음식산업 발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 맞대

전주시정연구원, 20일 ‘전주 음식산업 미래비전 수립을 위한 전문가 포럼’ 개최

 

한국현대미술신문 기자 | 전주시정연구원은 20일 베스트웨스턴플러스 전주호텔에서 전주의 음식산업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전주 음식산업 미래비전 수립을 위한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음식산업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한 이번 포럼은 전주 음식산업의 미래 비전과 발전 방향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첫 번째 발제를 맡은 금기형 (사)문화유산창의공간 대표는 ‘전주음식의 정체성 및 산업화·세계화 전략’을 주제로 전주음식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산업화와 글로벌리더십 확보 전략을 제시하며, 전주가 ‘지속가능한 미식 생태 도시’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영택 지역특화연구소 소장은 ‘미식산업 인프라 및 미식관광 콘텐츠’를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전주의 음식문화와 관광콘텐츠를 연계한 미식관광 콘텐츠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그는 또 트렌드 변화에 부응하는 미식관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컨트롤타워 강화 △관광·교육 인프라 확대 △미식관광 벨트화 △JK-푸드 세계화 △지역 유통 전략 확대 등을 추진 전략으로 제안했다.

 

이후 이어진 토론에는 김남규 전북대학교 특임교수와 민동규 전주관광재단 사무국장, 오영호 한식진흥원 수석전문위원, 이우석 놀고먹기연구소 소장, 차경옥 서울특별시 중구청 경제관광정책협력관이 참여해 전주 음식산업의 산업화 전략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김남규 특임교수는 음식 콘텐츠별 특화거리 활성화와 전주시 협의체 구성 등을 제안했으며, 민동규 사무국장은 전주의 음식산업이 정책적 연계와 내수기반 확충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구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오영호 연구위원은 전주 미식벨트 조성과 미식관광 전문기관 설립을 제안하며 글로벌 표준화 및 차별화를 강조했고, 이우석 소장은 전통과 관광이 결합된 체류형 미식관광 모델을 통해 지역경제와 시민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차경옥 협력관은 전통을 기반으로 한 현대적 감각의 음식 혁신과 전문가의 지속적인 연구, 표준화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이날 포럼에서는 강태안 가스트로투어 대표와 송효근 공주대학교 교수, 신동이 통일부장관실 비서관, 정명례 한국외식업중앙회 전주시 완산지부장이 참여한 토론을 통해 전주의 미식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도 했다.

 

먼저 강태안 대표는 축제 중심의 구조를 넘어 상시 체험형 미식관광 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통주 체험·가맥거리 투어·비건 코스 등 체류형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이어 송효근 교수는 ‘정체성의 수호와 세계화의 균형’의 키워드로 정통성 인증 체계 구축과 전주음식 다양성의 브랜딩을 통해 전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미식의 가치를 세계에 알려야 한다고 말했고, 신동이 비서관은 전주가 미식관광의 세계 수도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으로 홍보와 사람, 참여형 콘텐츠의 유기적인 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전주가 세계적인 미식도시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전주 음식산업의 발전 가능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전주시와 함께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는 등 협력의 폭을 넓혀갈 계획이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전주는 예로부터 한식의 본향이자 우리 고유의 미식문화를 가장 잘 간직해 온 도시이며, 이제는 전통의 가치를 넘어 산업화와 세계화를 위한 전략적 전환, 지속가능한 미식산업 생태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 포럼이 전통과 현대, 지역과 세계가 공존하는 미식 창조 도시 전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